Back
바래+정효,〈포스트-엑스포 시티〉
2024 PC 기반 게임, 사운드.

〈포스트 엑스포 시티〉는 엑스포 67 한국관을 인터랙티브 게임의 형태로 소개하며, 미래 사용에 대한 여러 시선을 담아내어 한국관이 변화하는 여정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한다. 장드라포공원 마스터플랜에서부터 한국관의 변천사(1967-2024)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관람객들은 무엇을 어떻게 보존 또는 개발할지에 대한 선택을 하게 된다. 이에 따른 용도, 건축 요소, 형태, 재료에 대한 선택을 통해 미래 한국관의 모습을 직접 그려보며, 이 과정 또한 하나의 아카이브가 된다.

BARE+Jeonghyo,Post-Expo City
2024 PC-based game, sound.

〈Post Expo City〉 introduces the Expo 67 Korea Pavilion through an interactive game,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the re-design process of the Korean Pavilion and incorporating various perspectives on the future use. Understanding the Korea Pavilion’s history and the Parc Jean-Drapeau development plans after Expo 67, people decide whether to preserve or develop the building through the change of its use, form, architectural elements, and materials. This process of (re)imagining the Korea Pavilion becomes an archive itself.

〈포스트 엑스포 시티〉는 엑스포 67 한국관을 인터랙티브 게임의 형태로 소개하며, 미래 사용에 대한 여러 시선을 담아내어 한국관이 변화하는 여정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한다. 장드라포공원 마스터플랜에서부터 한국관의 변천사(1967-2024)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관람객들은 무엇을 어떻게 보존 또는 개발할지에 대한 선택을 하게 된다. 이에 따른 용도, 건축 요소, 형태, 재료에 대한 선택을 통해 미래 한국관의 모습을 직접 그려보며, 이 과정 또한 하나의 아카이브가 된다.

〈Post Expo City〉 introduces the Expo 67 Korea Pavilion through an interactive game,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the re-design process of the Korean Pavilion and incorporating various perspectives on the future use. Understanding the Korea Pavilion’s history and the Parc Jean-Drapeau development plans after Expo 67, people decide whether to preserve or develop the building through the change of its use, form, architectural elements, and materials. This process of (re)imagining the Korea Pavilion becomes an archive itself.


바래+정효
바래
건축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고민하는 건축 스튜디오이다. 도시 환경과 시간에 조응하는 사물의 생산과 순환체계에 관한 리서치를 다양한 형태로 보여주는 작업을 한다.

정효
컴퓨터 아티스트로 게임, 웹, AR, VR 등의 다양한 미디어에서의 인터페이스를 변주하는 작업과 각각의 미디어를 하나의 통신으로 통합하는 작업들을 해오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로원데이, 부산현대미술관 리브랜딩 프로젝트 등에 협업으로 참여하였다.
BARE+Jeonghyo
BARE is an architecture studio that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environment. The research-driven practice focuses on the production and cycle of things that correspond to the urban environment and time in products to exhibitions, installations and publications.

A computer artist transforming interfaces across diverse media such as games, web, AR, and VR, while unifying each medium into a cohesive communication experience. Collaborative projects include the Hyundai Motor ZER01NE exhibition and the rebranding project for the Busan Museum of Contemporary Art.

바래
건축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고민하는 건축 스튜디오이다. 도시 환경과 시간에 조응하는 사물의 생산과 순환체계에 관한 리서치를 다양한 형태로 보여주는 작업을 한다.

정효
컴퓨터 아티스트로 게임, 웹, AR, VR 등의 다양한 미디어에서의 인터페이스를 변주하는 작업과 각각의 미디어를 하나의 통신으로 통합하는 작업들을 해오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로원데이, 부산현대미술관 리브랜딩 프로젝트 등에 협업으로 참여하였다.

BARE is an architecture studio that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environment. The research-driven practice focuses on the production and cycle of things that correspond to the urban environment and time in products to exhibitions, installations and publications.

A computer artist transforming interfaces across diverse media such as games, web, AR, and VR, while unifying each medium into a cohesive communication experience. Collaborative projects include the Hyundai Motor ZER01NE exhibition and the rebranding project for the Busan Museum of Contemporary Art.

한국건축아카이브
Korean Architecture Archive (KAA)
@k_arch_archive
karch.archive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