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정재경, 〈Topos Chronos〉
단채널 FHD 비디오, 흑백, 사운드, 4분 9초.

분류
작품

영상 기록 및 제공
KAA

몬트리올 기록 보관소는 엑스포 67 세계박람회를 기록한 ‘Archives de la Ville de Montréal, P095-X-D002’를 소장하고 있다. 이 기록 필름에는 1960년대 60여 개 국가들이 상상한 미래 유토피아를 지상에서 실체화한 세계의 모습이 담겨 있다. 버크민스터 풀러가 설계한 미국관은 계획에 의해, 건축가 김수근이 디자인한 한국관은 우연에 의해 오늘날까지 잔존하고 있다. 〈Topos Chronos〉는 무너진 채 방치된 한국관 탑 구조물 안에서 우연히 발견된 출처 미상의 한국관 홍보곡을 수록한 필름 릴에 대한 작가의 사적 공상을 기록한 공개 아카이브이다.

Jaekyung Jung, Topos Chronos
2024, single-channel FHD video, b/w, sound, 4 min. 9 sec.

Sort
Art

Video Recorded and Provided by
KAA

The Montreal Archives houses ‘Archives de la Ville de Montréal, P095-X-D002,’ which documents the Expo 67 World Exhibition. This film reel captures the world as envisioned by over 60 countries in the 1960s, materializing their imagined utopias on Earth. The American pavilion, designed by Buckminster Fuller, remains by intention, while the Korean pavilion, designed by architect Kim Swoo Geun, still stands today by chance. Topos Chronos is a public archive documenting the artist’s imagination on a fictional film reel containing an unidentified promotional song for the Korean pavilion found by chance within the abandoned tower structure of the pavilion.

몬트리올 기록 보관소는 엑스포 67 세계박람회를 기록한 ‘Archives de la Ville de Montréal, P095-X-D002’를 소장하고 있다. 이 기록 필름에는 1960년대 60여 개 국가들이 상상한 미래 유토피아를 지상에서 실체화한 세계의 모습이 담겨 있다. 버크민스터 풀러가 설계한 미국관은 계획에 의해, 건축가 김수근이 디자인한 한국관은 우연에 의해 오늘날까지 잔존하고 있다. 〈Topos Chronos〉는 무너진 채 방치된 한국관 탑 구조물 안에서 우연히 발견된 출처 미상의 한국관 홍보곡을 수록한 필름 릴에 대한 작가의 사적 공상을 기록한 공개 아카이브이다.

The Montreal Archives houses ‘Archives de la Ville de Montréal, P095-X-D002,’ which documents the Expo 67 World Exhibition. This film reel captures the world as envisioned by over 60 countries in the 1960s, materializing their imagined utopias on Earth. The American pavilion, designed by Buckminster Fuller, remains by intention, while the Korean pavilion, designed by architect Kim Swoo Geun, still stands today by chance. Topos Chronos is a public archive documenting the artist’s imagination on a fictional film reel containing an unidentified promotional song for the Korean pavilion found by chance within the abandoned tower structure of the pavilion.

한국건축아카이브
Korean Architecture Archive (KAA)
@k_arch_archive
karch.archive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