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정재경, 〈Traces〉
4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5분, 반복 재생.

분류
작품

영상 기록 및 제공
KAA

〈흔적들〉은 엑스포 67 전시 이후 현재까지 보존되어 온 한국관을 건축가, 역사가, 이론가, 시민단체, 그리고 전문 아카이브 기관의 시선으로 조망한다. 한국관의 설계에 참여한 공간 건축사 사무소의 당시 한국관 건축 설계팀의 회고는 한국 근대 건축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던 미세한 기억의 흔적을 드러낸다. 엑스포 67이 개최된 장 드라포 공원에 남아 있는 한국관을 보존하기 위한 캐나다 현지의 한인 건축가들과 시민단체의 온정은 파빌리온이 국가 이념 정치 또는 문화 자본의 공간을 넘어, 시민과 연대하여 생명성을 획득하는 유기적 개념일 수 있음을 진술한다. 이는 한국관의 우연한 생존을 이룬 가장 희미한 실핏줄과 같은 흔적일지도 모른다. 작품은 이같은 미세 흔적을 더듬어나간 기록을 담고 있다.

Jaekyung Jung, Traces
2024, four-channel video, color, sound, 5 min., loop.

Sort
Art

Video Recorded and Provided by
KAA

Traces offers a perspective on the Korean Pavilion preserved since the Expo 67 exhibition, as seen through the eyes of architects, historians, theorists, civic groups, and archivists. The retrospective of the Space Group, the team behind the design of the Expo 67 Korean Pavilion, reveals subtle micro-memories not documented in the official history of modern Korean architecture. The dedication of Korean-Canadian architects and civic groups to preserving the pavilion at Jean-Drapeau Park, where Expo 67 took place, demonstrates that pavilions transcend political spaces that monumentalize national ideologies, or cultivate cultural capital, and instead form organic vitality through solidarity with citizens. This may be the faintest, yet most essential, trace that has enabled the pavilion's survival today. The work contains a record of tracing these micro-traces.

〈흔적들〉은 엑스포 67 전시 이후 현재까지 보존되어 온 한국관을 건축가, 역사가, 이론가, 시민단체, 그리고 전문 아카이브 기관의 시선으로 조망한다. 한국관의 설계에 참여한 공간 건축사 사무소의 당시 한국관 건축 설계팀의 회고는 한국 근대 건축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던 미세한 기억의 흔적을 드러낸다. 엑스포 67이 개최된 장 드라포 공원에 남아 있는 한국관을 보존하기 위한 캐나다 현지의 한인 건축가들과 시민단체의 온정은 파빌리온이 국가 이념 정치 또는 문화 자본의 공간을 넘어, 시민과 연대하여 생명성을 획득하는 유기적 개념일 수 있음을 진술한다. 이는 한국관의 우연한 생존을 이룬 가장 희미한 실핏줄과 같은 흔적일지도 모른다. 작품은 이같은 미세 흔적을 더듬어나간 기록을 담고 있다.

Traces offers a perspective on the Korean Pavilion preserved since the Expo 67 exhibition, as seen through the eyes of architects, historians, theorists, civic groups, and archivists. The retrospective of the Space Group, the team behind the design of the Expo 67 Korean Pavilion, reveals subtle micro-memories not documented in the official history of modern Korean architecture. The dedication of Korean-Canadian architects and civic groups to preserving the pavilion at Jean-Drapeau Park, where Expo 67 took place, demonstrates that pavilions transcend political spaces that monumentalize national ideologies, or cultivate cultural capital, and instead form organic vitality through solidarity with citizens. This may be the faintest, yet most essential, trace that has enabled the pavilion's survival today. The work contains a record of tracing these micro-traces.

한국건축아카이브
Korean Architecture Archive (KAA)
@k_arch_archive
karch.archive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