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힐튼호텔 철거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저는 직접 로비를 찾아 사진을 남겼습니다. 연말에 다시 철거 소식을 확인했고, 이후 세미나와 인터뷰, 글쓰기로 대응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언론에는 신축 투시도가 등장했고, 세계적인 건축가 노먼 포스터의 설계안이었습니다. 힐튼호텔 보존 논의는 단숨에 밀려나고, 대체 건축의 화려함이 전면에 등장했습니다.
김종성 선생님은 자신의 대표작을 지키기 위해 누구보다 앞장섰습니다. 층고 10.35m 같은 세부 치수까지 정확히 기억하며 설명했고, 마지막 영업일에는 ‘이 건물에서 일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는 인사를 받았습니다.
힐튼호텔의 로비는 잘 진화된 모더니즘이 장소성과 인간 정서를 담아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치밀한 비례와 정성껏 고른 재료, 그리고 입체적 공간 구성이 만나 교향곡 같은 울림을 만들어낸 건축이었습니다.
힐튼호텔을 지키지 못한 실패가 헛된 것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 실패가 앞으로 한국 건축의 보존 담론을 더 깊고 넓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 우리는 여전히 의미 있는 성공을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In 2021, when I first heard the news of the Hilton Hotel’s demolition, I went to the lobby myself and took photos. Later that year, I heard confirmation of the demolition again, and from then on, I began responding through seminars, interviews, and writing.
Eventually, a rendering of the new development appeared in the media—it was a design by the world-renowned architect Norman Foster. Discussions around preserving the Hilton Hotel were quickly pushed aside, as the spectacle of the replacement architecture took center stage.
Architect Kim Jong-sung took the lead in efforts to preserve what he considered his representative work. He vividly recalled and explained even the smallest details, such as the floor-to-ceiling height of 10.35 meters. On the hotel’s final day of operation, he received a farewell message: ‘It was an honor to work in this building.’
The lobby of the Hilton Hotel demonstrates how well-evolved modernism can embody a sense of place and human emotion. With meticulous proportions, carefully selected materials, and a spatial composition rich in depth, the architecture resonates like a symphony.
The failure to preserve the Hilton Hotel must not be in vain. If this loss can serve as a catalyst for deepening and broadening the discourse on architectural preservation in Korea, then we can still carry forward a meaningful form of su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