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기술은 계속 발전하지만 건축물의 수명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습니다. 건물의 생애를
결정짓는 것은 구조적 기능이 아니라 사회·경제·정치적 이유이기 때문입니다.
건축은 짓는 것만이 아니라 허무는 데에도 설계가 필요합니다. 철거 방식은 구조와 형식에 맞춰 정교하게 계획되며, 그 과정은 때때로 축제처럼 사람들을 끌어들입니다.
우리는 건축의 생애를 시작–중간–끝의 단계로 보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중간 상태와 스펙트럼이 존재합니다. 완벽한 건축물은 없으며, 늘 유지·관리·변화를 거쳐 존재합니다.
장례가 단순한 의례가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디자인의 산물이듯, 건축가 역시 건축물의 소멸을 설계해야 합니다. 장의사로서의 건축가는 소멸의 과정에 의미와 형식을 부여합니다.
건축물의 소멸은 막을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재를 어떻게 기억하고, 그 부재로부터 무엇을 새롭게 창조할 수 있느냐입니다.
While construction technology continues to advance, the lifespan of buildings is actually decreasing. This is because the lifespan of a building is determined not by its structural function but by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Architecture requires design not only in construction but also in demolition. The method of dismantling is carefully plann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form, and the process sometimes draws people in like a celebration.
We often view the life of a building in stages—beginning, middle, and end—but in reality, there are countless intermediate states and spectrums. No building is perfect; it always exists through ongoing maintenance, care, and change.
Just as a funeral is not a mere ritual but the product of various skills and designs, architects must also design the demise of buildings. As undertakers, architects give meaning and form to the process of disappearance.
The demise of buildings is inevitable. What matters is how we remember their absence and what new things we can create from that abs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