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철거나 해체 과정에서 설계자는 ‘해체를 전제한 설계(Design for Deconstruction)’와 같은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 기록하거나 자재를 순환해서 쓰는 일은 설계자가 건축의 ‘죽음’을 다루는 방식이 단지 기술적 해법에 그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순환경제 담론의 낙관적 버전으로 소비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자재의 재사용은 고급 건축 자재보다 토목 충전재로 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90% 재활용’ 같은 수치가 가진 착시를 드러냅니다. 진정한 순환 설계를 지향하려면 재료의 사회적 궤적까지 고려하는 급진적 전환이 필요합니다.
소멸을 다루는 건축 담론은 종종 ‘아름다운 폐허’나 ‘의미 있는 종말’ 같은 미학적 수사에 갇히기 쉽습니다. 하지만 현실의 소멸은 이와 다른 문제들로 얽혀 있습니다. 건축의 장례식이 진정한 사회적 의례가 되려면, 미학적 기념비화가 아니라 불편한 현실을 드러내고 논쟁의 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결국 건축의 소멸을 다루는 설계의 진정한 과제는, ‘기억의 보존’이 아니라 ‘권력의 폭로’에 가깝습니다.
In the process of building demolition or dismantling, designers can take approaches such as Design for Deconstruction. Documenting buildings or reusing materials shows that the way architects deal with the "death" of architecture is not merely a technical solution. However, this can still be consumed as an optimistic version of the circular economy discourse. In reality, material reuse often ends up as infill for civil engineering rather than as high-quality architectural materials, revealing the illusion behind figures like “90% recycling.” To truly aim for circular design, a radical shift that considers the social trajectories of materials is necessary.
Architectural discourse on disappearance often falls into aesthetic rhetoric such as the “beautiful ruin” or the “meaningful end.” Yet the reality of disappearance is entangled with very different issues. For the funeral of architecture to become a genuine social ritual, it must serve not as an act of aesthetic monumentalization but as a means to expose uncomfortable realities and transform them into a site of debate. Ultimately, the true task of design that deals with architectural disappearance lies not in the “preservation of memory” but in the “exposure of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