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럼 영상은 약 3분 분량의 티저입니다. 전체 영상은 전시장 내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실천과 연구, 선택과 활용 사이: 연구와 실천의 관점에서 본 1960~80년대 건물의 보존과 활용
사전 포럼 2회차는 1960~1980년대 ‘현대 건축물’이 처한 보존과 활용의 새로운 국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일제강점기 근대건축물이나 근대 산업유산이 아닌 서구식 현대 건축 교육을 받은 1세대 한국 건축가들의 작업이 소멸되는 다가오는 현실 속에서, 건축물의 나이듦, 설계자의 위치, 사회적 맥락 등을 논의해봅니다. 개인, 조직, 제도적 차원 등 다각도적 접근을 통해 1960년대-80년대 탄생한 건축물의 또 다른 미래를 실천과 연구의 관점에서 살펴봅니다.
This forum video is a three-minute teaser. The full version can be viewed inside the exhibition hall.
Between Practice and Research, Preservation and Reuse: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buildings from the 1960s to 1980s from the perspectives of research and practice
The second pre-exhibition forum discusses the new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modern architecture” from the 1960s to 1980s. As the works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rchitects—educated in Western modernist architectural traditions—face the reality of disappearance, the discussion explores the aging of architecture, the role of the architect, and the broader social context. Through multi-layered perspectives—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the forum examines possible futures for architectural works from the 1960s to 1980s from both practical and research-oriented viewpoints.
*본 포럼 영상은 약 3분 분량의 티저입니다. 전체 영상은 전시장 내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실천과 연구, 선택과 활용 사이: 연구와 실천의 관점에서 본 1960~80년대 건물의 보존과 활용
사전 포럼 2회차는 1960~1980년대 ‘현대 건축물’이 처한 보존과 활용의 새로운 국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일제강점기 근대건축물이나 근대 산업유산이 아닌 서구식 현대 건축 교육을 받은 1세대 한국 건축가들의 작업이 소멸되는 다가오는 현실 속에서, 건축물의 나이듦, 설계자의 위치, 사회적 맥락 등을 논의해봅니다. 개인, 조직, 제도적 차원 등 다각도적 접근을 통해 1960년대-80년대 탄생한 건축물의 또 다른 미래를 실천과 연구의 관점에서 살펴봅니다.
This forum video is a three-minute teaser. The full version can be viewed inside the exhibition hall.
Between Practice and Research, Preservation and Reuse: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buildings from the 1960s to 1980s from the perspectives of research and practice
The second pre-exhibition forum discusses the new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modern architecture” from the 1960s to 1980s. As the works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rchitects—educated in Western modernist architectural traditions—face the reality of disappearance, the discussion explores the aging of architecture, the role of the architect, and the broader social context. Through multi-layered perspectives—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the forum examines possible futures for architectural works from the 1960s to 1980s from both practical and research-oriented view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