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힐튼서울 자서전》사전 포럼 5회차 티저일시
25-08-28

장소
피크닉 별관 3층

발표자
김성홍(국립도시건축박물관 전시감독) 전진홍+최윤희(KAA, 한국건축아카이브)

모더레이터
정다영(CAC)

*본 포럼 영상은 약 3분 분량의 티저입니다. 전체 영상은 전시장 내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유산을 담는 방식

이번 포럼은 힐튼서울 자서전 전시 사전 포럼을 마무리하는 자리로, 건축유산을 담는 제도적/대안적 방식을 탐구합니다. 건축물의 생산이나 해체로 파생된 건축물의 파편들이 뮤지엄에서 전시/수집되는 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국내 첫 도시건축 전문 박물관이 될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의 개관 전시 사례를 살펴봅니다. 또한 기관 차원이 아니라 개인적/독립적 연구 조직들이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어떻게 건축이 기억되고 기록으로 남을 수 있을지 질문합니다. 이에 응답하는 사례로 KAA의 1967 몬트리올 엑스포 한국관(김수근 설계) 전시를 살펴봅니다. 연구-수집-전시로 이어지는 일련의 활동들이 매개하는 건축 담론에 대해 논의합니다.

*힐튼서울의 파사드 파편은 세종시 국립도시건축박물관 개관 전시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PRE-EXHIBITION FORUM: The Autobiography of Hilton Seoul Forum 5th, teaserDate
25-08-28

Location
Piknic, Annx 3rd Floor

Publisher
Kim Sung Hong(Exhibition Curator at the Korean Museum of Urbanism & Architecture) Jeon Jinhong+Choi Yunhee (Korean Architecture Archive)

Moderator
Chung Dahyoung(CAC)

This forum video is a three-minute teaser. The full version can be viewed inside the exhibition hall.

Ways of Holding Architectural Heritage

As the concluding session of the Autobiography of Hilton Seoul pre-exhibition forum series, this discussion explores both institutional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preserving architectural heritage. Within the global trend of exhibiting and collecting architectural fragments—remnants derived from the production or dismantling of buildings—the forum examines the inaugural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Urban Architecture, soon to open as Korea’s first museum dedicated to urban and architectural culture.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how architecture can be remembered and recorded through initiatives led not only by institutions but also by independent and research-driven organizations. In response, the forum introduces KAA’s exhibition on the 1967 Montreal Expo Korea Pavilion, designed by Kim Swoo-geun, reflecting on how a continuum of research, collection, and exhibition mediates architectural discourse.

Fragments of the Hilton Seoul façade will be presented in the opening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Urban Architecture in Sejong City.

*본 포럼 영상은 약 3분 분량의 티저입니다. 전체 영상은 전시장 내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유산을 담는 방식

이번 포럼은 힐튼서울 자서전 전시 사전 포럼을 마무리하는 자리로, 건축유산을 담는 제도적/대안적 방식을 탐구합니다. 건축물의 생산이나 해체로 파생된 건축물의 파편들이 뮤지엄에서 전시/수집되는 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국내 첫 도시건축 전문 박물관이 될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의 개관 전시 사례를 살펴봅니다. 또한 기관 차원이 아니라 개인적/독립적 연구 조직들이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어떻게 건축이 기억되고 기록으로 남을 수 있을지 질문합니다. 이에 응답하는 사례로 KAA의 1967 몬트리올 엑스포 한국관(김수근 설계) 전시를 살펴봅니다. 연구-수집-전시로 이어지는 일련의 활동들이 매개하는 건축 담론에 대해 논의합니다.

*힐튼서울의 파사드 파편은 세종시 국립도시건축박물관 개관 전시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This forum video is a three-minute teaser. The full version can be viewed inside the exhibition hall.

Ways of Holding Architectural Heritage

As the concluding session of the Autobiography of Hilton Seoul pre-exhibition forum series, this discussion explores both institutional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preserving architectural heritage. Within the global trend of exhibiting and collecting architectural fragments—remnants derived from the production or dismantling of buildings—the forum examines the inaugural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Urban Architecture, soon to open as Korea’s first museum dedicated to urban and architectural culture.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how architecture can be remembered and recorded through initiatives led not only by institutions but also by independent and research-driven organizations. In response, the forum introduces KAA’s exhibition on the 1967 Montreal Expo Korea Pavilion, designed by Kim Swoo-geun, reflecting on how a continuum of research, collection, and exhibition mediates architectural discourse.

Fragments of the Hilton Seoul façade will be presented in the opening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Urban Architecture in Sejong City.

한국건축아카이브
Korean Architecture Archive (KAA)
@k_arch_archive
karch.archive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