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한국에 대한 기억과 가치

줄리 벨랑져
엑스포 67 시민단체 설립자

Julie Bélanger
Founder, Expo 67 Group

Q1. 어떻게 이 일을 시작하게 되었나요?

꽤 오랫동안 열정을 품고 있었던 것 같아요. 저는 1967년에 태어나지 않았지만, 그 후 몇 년 동안 이곳에서 많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조부모님이 저를 이곳에 처음 데려왔고, 10대 때 여기에서 산책했던 기억이 납니다. 2000년 초에 이 부지는 버려진 채로 비어 있었고 상태가 좋지 않았습니다. 남아 있는 파빌리온에 대한 관리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서 상당히 실망스러운 상태였죠. 2007년 40주년을 맞아 뭔가 큰 행사가 있을 거라고 기대했는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어요. 그래서 제가 직접 나서서 사람들을 모아 이 그룹을 만들었어요.

Q2. 엑스포 67은 개인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나요? 또 직업적으로 어떤 인연이 있나요?

제 인생은 어떤 식으로든 EXPO 67과 함께해왔습니다. 말씀드렸듯이 저는 그 당시에 태어나지 않았지만, 2017년 캐나다 100주년 기념행사인 캐나다 150에서 캐나다 문화유산부 장관의 특별고문이 되는 놀라운 기회를 얻었습니다. 평소에 엑스포에 대한 애정을 갖고 있던 저에게 캐나다 150주년 기념행사를 잘 치를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요청 전화가 와서 정말 놀랐습니다. 그 일을 계기로 다양한 인맥을 쌓았죠. 또한 그룹과 함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열리는 세계적인 전시회에도 참여했는데요. 예를 들어 두바이에 있을 때는 유니버설 전시회에서 몇몇 국가의 파빌리온 디자인을 도왔고, 그 일은 꽤 큰 사명감으로 해야 했습니다. 심지어 제 피부에는 엑스포 67 오리지널 로고가 문신으로 새겨져 있어요.
제 개인적인 인연뿐만 아니라 엑스포 67은 몬트리올의 현대적 발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몬트리올은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건축 양식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상당히 개방적인 도시입니다. 오늘날의 우리는 일상에서 새로운 건축물을 접하고, 그 건물에서 세계 각국의 음식을 맛봅니다. 하지만 당시 몬트리올에서는 이 모든 것이 완전히 새롭고,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것이었죠.

Q3. 아마도 한국관에 대한 추억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려고 노력하신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 한국관의 특별한 점을 더듬어보아야 할 것 같은데요. 오랜 시간 동안 한국관을 지켜보시면서 엑스포의 다른 전시관과 비교했을 때 디자인이나 건축 자재에 특별히 흥미로운 점이 있으신가요?

수년 동안 그리고 현장에 남아 있는 파빌리온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것 중 하나는 파빌리온의 수직적 압도감입니다. 프랑스 파빌리온은 상당히 큽니다. 몬트리올 카지노, 지금은 미국 파빌리온이 있는데, 이 파빌리온도 상당히 큰 규모입니다. 반면에 튀니지와 자메이카에 있는 다른 파빌리온은 매우 작습니다. 현재 파빌리온이 그렇게 많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그 건물들이 실제로 높았다는 사실을 잊어버렸습니다. 당시 현장의 건물들이 꽤 높았어요.
세인트헬렌 섬의 엑스포 67 구역에서 한국관의 탑은 눈에 확 띄었습니다. 물론 미국 파빌리온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큰 구 형태인데다가 주변에 CIBC도 짧고 지하철역도 높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봉수대 역할은 한국 타워 하나뿐이었어요. 꼭 복원되기를 바랍니다. 구조적으로 그리 복잡하지는 않지만, 세인트헬렌 섬에서 볼수 있는 아주 멋진 시각적 포인트였어요.
파빌리온 자체도 정말 놀라웠습니다. 10년 이상 비바람에 노출되었지만, 기존의 내부 천장이 그대로 남아 있으니까요. 정말 멋지기 때문에 어떻게든 원래의 구조와 목조, 그리고 천장을 모두 복원하거나 재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어요.
그런데 흥미롭게도 한국관을 철거하기로 결정했을 때, 1989년에 대대적인 소품 판매를 했습니다. 일종의 프리마켓 개념의 판매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둘러보고 한국관 내에 온갖 종류의 물건을 사갔습니다. 물론 누가 무엇을 샀는지에 대한 재고는 관리되지 않았죠. 그래서 말인데 한국관 복원에 대한 제 바람이 하나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복원 논의가 이루어지면 ‘내가 한국관의 전등을 샀다’는 식의 사람들 이야기가 속속 나오면 좋겠습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저는 이 전등을 돌려주게 하거나 시에 다시 팔아서 실제로 파빌리온에 다시 설치되도록 힘쓸 의향이 있습니다. 그런 일이 생긴다면 정말 멋지겠죠.

Q1. How did you get started in this field?

I think I’ve carried this passion for quite a long time. I wasn’t born in 1967, but many things happened here in the years that followed. My grandparents were the ones who first brought me to the site, and I still remember walking around here as a teenager. In the early 2000s, the grounds were abandoned and in poor condition. The remaining pavilions were not being maintained at all, which was very disappointing. In 2007, for the 40th anniversary, I expected something significant to happen, but nothing did. That’s when I decided to take the initiative myself and bring people together to form this group.

Q2. What does Expo 67 mean to you personally? And what is your professional connection to it?

In one way or another, my life has always been connected to Expo 67. As I mentioned, I wasn’t born at the time, but in 2017, during Canada 150—the centennial celebration of Canada—I had the incredible opportunity to serve as a special advisor to the Minister of Canadian Heritage. I was truly astonished when I received a call asking me, someone already passionate about expositions, to help ensure the success of Canada’s 150th anniversary events. That experience allowed me to build a wide network of connections, and through the group, I was also able to meet many different people. I’ve continued to participate in world expositions that are still held today. For example, while in Dubai, I assisted with the design of several national pavilions at the Universal Exposition—work that carried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I even have the original Expo 67 logo tattooed on my skin. Beyond my personal connection, Expo 67 is also deeply tied to Montreal’s modern development. The city embraced a wide range of cultures and architectural styles from around the world while remaining remarkably open in many aspects of everyday life. Today, we regularly encounter new architecture in our daily lives and enjoy cuisines from different countries in those buildings. But in Montreal at that time, all of this was completely new—an unprecedented experience.

Q3. Perhaps you've tried to give it a new role because you have fond memories of the Korean Pavilion. On the other hand, it seems like you need to explore what makes it special. After observing the Korean Pavilion for a long time, compared to other pavilions at the Expo, is there anything about its design or construction materials that particularly caught your attention?

One of the things we’ve lost over the years, and with the remaining pavilions on the site, is the sense of vertical grandeur they once had. The French Pavilion was enormous. The building that is now the Montreal Casino—the former American Pavilion—was also of considerable scale. In contrast, other pavilions, such as those of Tunisia and Jamaica, were quite small. Since so few pavilions remain today, we tend to forget just how tall those structures actually were. At the time, many of the buildings on the site were impressively high.
On Saint Helen’s Island, the tower of the Korean Pavilion stood out immediately. Of course, the American Pavilion was easy to spot as well—its large spherical form made it visible, and the nearby CIBC Pavilion and metro station were relatively low in height. But when it came to a beacon-like presence, the Korean tower was unique. I sincerely hope it will be restored. Structurally, it was not overly complex, but it offered a striking visual landmark on Saint Helen’s Island.
The pavilion itself was also remarkable. Even after more than a decade of exposure to the elements, its original interior ceiling remained intact. It was truly impressive, and I hope a way can be found to restore or reconstruct its original structure, woodwork, and ceiling.
Interestingly, when the decision was made to demolish the Korean Pavilion in 1989, there was a large-scale sale of its contents. It was like a flea market—people wandered through and bought all sorts of items from inside the pavilion. Naturally, there was no inventory to keep track of who bought what. That’s why I have a wish regarding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Pavilion: once serious discussions begin, I hope to hear stories from people saying things like, “I bought a lamp from the pavilion.” If that happens, I would be more than willing to return the lamp—or even resell it to the city—so that it could be reinstalled in the pavilion. That would be something truly wonderful.

한국건축아카이브
Korean Architecture Archive (KAA)
@k_arch_archive
karch.archive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