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인간과 손: 엑스포 67 한국관의 흔적》

전시기간
2024-11-22 - 2024-12-06

전시장소
주캐나다한국문화원

참여작가
서울과학사, 정재경, 바래+정효

기획
전진홍, 최윤희

보조기획
김맑음

리서치&전시디자인
이인애, 권서현, 이수민

그래픽 디자인
박고은

행정
구예나

주최 및 주관
주캐나다한국문화원, 바래(BARE), 한국건축아카이브(KAA)

협력
칼튼대학교, 캐나다건축센터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Exhibitions

Man and His Hand: Traces of the Expo 67 Korea Pavilion

Period
2024-11-22 - 2024-12-06

Location
Korean Cultural Centre Canada

Artists
Seoul Model Shop, Jaekyung Jung, BARE+Jeonghyo

Curated by
Jinhong Jeon, Yunhee Choi

Assistant Curated by
Malqeum Kim

Research & Space Design
Inae Lee, Seohyeon Kwon, Sumin Lee

Graphic Design
Goeun Park

Administration
Yena Ku

Hosted & Organized
Korean Cultural Centre Canada (KCC), BARE, Korean Architecture Archive (KAA)

Program Cooperation
Carleton University, Canadian Center for Architecture (CCA)

Sponsored
ARKO Arts Council Korea

인간과 손: 엑스포 67 한국관의 흔적
한국관은 1967년 몬트리올 엑스포 67가 끝난 뒤 대부분의 국가관이 철거된 것과 다르게 현재까지 실물이 남아 있으며, 현재 복원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엑스포 67 한국관 관련 기록 자료와 이를 둘러싼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의 정체성이 세계 무대에서 발현된 순간을 재구성하며 미래를 위한 새로운 상상을 펼쳐나가고자 합니다.

Man and His Hand: Traces of the Expo 67 Korean Pavilion
Unlike most national pavilions that were dismantled after Expo 67 ended in Montreal in 1967, the Korean pavilion remains intact to this day and is currently scheduled for restoration. Various archival materials and stories related to the Korean Pavilion at Expo 67 are explored to reconstruct the moment when Korea’s identity was expressed on the world stage and to reimagine the past to construct a new future.

참여 작품

Works

연구

엑스포 67 한국관 리서치

기간
2023-06-01 - 2023-12-31

장소
장드라포 공원, 캐나다 건축센터 외/몬트리올


주최 및 주관
바래(BARE), 한국건축아카이브(KAA)

협력
캐나다건축센터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Research

Expo 67 Korean Pavilion Research

Period
2023-06-01 - 2023-12-31

Location
Jean-Drapeau Park, Canadian Centre for Architecture, Montreal


Hosted and hosted
BARE, KAA(Korean Architect Archive)

Cooperation
CCA(Canadian Architecture Center)

Sponsored
Korea Arts Council

엑스포 67 한국관 리서치

2023년 10월, KAA는 몬트리올 리서치 트립을 통해 엑스포 67 자료를 소장한 여러 기관의 한국관 관련 기록물을 살펴보고, 현재 한국관의 모습을 사진, 영상과 3D 스캐닝으로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1966~7년 김수근 건축연구소 설계팀(한국)과 현재 한국관의 운영, 관리를 맡고 있는 장드라포 공원 사무국(캐나다) 등 다양한 관계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한국관의 의미와 가치를 짚어 보았습니다.

Expo 67 Korean Pavilion Research

In October 2023, KAA conducted a research trip to Montreal to examine archival materials related to the Korea Pavilion held by several institutions that preserve Expo 67 records. During the trip, the team documente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avilion through photography, video, and 3D scanning.
KAA also engaged in conversations with various stakeholders—including the design team of Kim Swoo-geun’s Architect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1966–67) and the management office of Parc Jean-Drapeau (Canada), which currently oversees the pavilion—to revisit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Korea Pavilion.

스토리

Dialogues

엑스포 67 한국관 친구들


"여기 몬트리올 현지 시민들은 장드라포 공원에 대한 애정이 있는데...한국측에서 너무 관심이 없어서 그 부분이 제일 어렵습니다."
“The local citizens of Montreal have a strong affection for Jean Drapeau Park, but the biggest challenge is that the Korean side shows very little interest in it.”

"몬트리올 관점에서 보면 이런 공원에 있는 건물이 이용되지 않고 그냥 버려져 있는 것 자체가 좀 안타까운 면이고, 이게 빨리 복원되고 다시 이용돼서 한국관이 다시 살아날 수 있으면 좋을거같아요."
From Montreal’s perspective, it’s quite unfortunate that a building in such a prominent park is left unused and neglected. It would be great if it could be restored quickly and brought back to life so the Korean Pavilion can thrive once again.

"처음에 와서 봤을 때는 조용하고 잠잠하게 주변 맥락과 겹치면서, 옛날부터 한국 건축이 추구했던 자연과의 공존을 나타낼 수 있는 어떤 상징적인 건물이 하나 있었어요."
"When I first came to see it, it was quiet and calm, blending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and there was a symbolic building that represented the harmony with nature, which Korean architecture has long pursued."

"처음에 제가 느낀 감정은 한국 전통 건물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건물이 몬트리올에 있다는 생각에 되게 반가웠고 감격스럽기까지 했었어요. 근데 상태가 너무 안 좋고 슬픈 분위기였어요. 그래서 정말 안타까웠어요."
"My initial feeling was a mix of joy and awe at seeing a building with the form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right here in Montreal. However, the condition was very poor and the atmosphere was quite sad. So, I felt really heartbroken."

    아카이브

  1. 1967 몬트리올 엑스포 67
    - 주제 “인간과 세계”
    - 5천만 명 이상의 방문객
    - 기간: 1967년 4월 28일 - 10월 29일
  2. 1972-1975 캐나다우체국관으로 활용
  3. 1975-1978 쿠바관으로 활용
  4. 1981-1984 캐나다 조폐공사 전시관으로 활용
  5. 1991-1992 리노베이션 공사
    건물 일부 해체됨
    원래의 8개 나무 기둥은 시멘트 마감이 이루어짐
    오늘날 관찰할 수 있는 평평하고 고른 바닥으로 변경됨
  6. 2011 무너진 탑
    인근 건설 공사 기간 동안 트럭의 한국관 충돌 사고 발생. 탑이 무너짐.
  7. 2012 유지 보수
    일부 보수 공사 진행

    방치된 채 철거 위기에 처한 한국관에 대한 우려 제기
  8. 2014 몬트리올시 한인회를 중심으로 한 한국관 복원 움직임
    몬트리올시 한인회에서 한국관 복원을 위한 노력에 앞장서게 됨
    국내 건축역사학자 및 문화재 수리 전문가 참여
  9. 2018 몬트리올시에 대한 제안서
    몬트리올시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건축가들이 한국관 보수 및 용도 변경을 위한 아이디어를 시에 제안
    67년 엑스포 한국관 친구들(l’Expo 67, APCEX67)에 의해 조직
  10. 2019 에스파스 67: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르메이 설계로 몬트리올 엑스포의 장소였던 공원 일대가 ‘에스파스 67’로 재탄생
    몬트리올 엑스포 당시 미국관이었던 곳과 알렉산더 칼더의 작품을 연결하여 야외 광장을 조성
  11. 2024 복원과 아이디어
    장-드라포 공원 사무국의 공원 복원 계획
    전시를 통해 한국관에 대한 아이디어 수집

    Archive

  1. 19671967 International and Universal Exposition (Expo 67)
    - Theme “Man and His World (Terre des Hommes)”
    - Welcomed over 50 million visitors
    - Date: April 28 to October 29, 1967
  2. 1972-1975Used as the Canadian Postal Services Pavilion
  3. 1975-1978Used as the Colombian Pavilion
  4. 1981-1984Used as the Canadian Royal Mint Pavilion
  5. 1991-1992Renovation Works
    Several parts of the building were dismantled.
    The original eight wooden columns were covered with cement finishes.
    The floor was transformed into the current flat and even surface we see today.
  6. 2011Fallen Tower
    Korean pavilion was hit by a truck (during nearby construction works) and fell.
  7. 2012Maintenance Works
    Some renovations carried out

    Concerns were raised regarding the neglected state of the Korean Pavilion, which faced potential demolition.
  8. 2014The Montreal Korean Community’s Efforts
    The Montreal Korean Community spearheaded efforts to restore the Korean Pavilion.
    Involvement of a Korean architectural historian and a cultural properties repair specialist.
  9. 2018Proposal to the City of Montreal
    Korean architects presented a proposal to the City of Montreal to repair and repurpose the Korean Pavilion.
    Organized by "Les Amis du Pavillon de la Corée de l’Expo 67" (APCEX67)
  10. 2019Espace 67
    The Expo 67 site was reborn as Espace 67, redesigned by Lemay
    Linking Biosphere (former U.S. Pavilion) and Calder's artwork
    Creating an outdoor plaza “Amphitheatre”
  11. 2024Restoration & Idea
    Plans for the restoration of the Société du Parc Jean-Drapeau
    Collecting the ideas on the Korean Pavilion by this exhibition

프로그램

Programs

비디오

Videos

한국건축아카이브
Korean Architecture Archive (KAA)
@k_arch_archive
karch.archives@gmail.com